2025년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AI 도구 사용이 보편화되었지만, 정작 개발자들의 AI에 대한 신뢰는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tack Overflow가 전 세계 49,000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개발자 설문조사 결과, AI 도구 사용률과 신뢰도 사이의 역설적 현상이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AI 도구 사용률은 증가, 신뢰도는 급락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84%의 개발자가 현재 AI 도구를 사용하거나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2024년 76%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전문 개발자의 51%가 매일 AI 도구를 사용한다고 응답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높은 사용률과는 대조적으로, AI 도구의 정확성을 신뢰한다고 답한 개발자는 33%에 불과했습니다. 더 충격적인 것은 46%의 개발자가 AI 도구의 정확성을 적극적으로 불신한다고 답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매우 신뢰한다”고 답한 개발자는 단 3%에 머물렀습니다.

“거의 맞는” AI 코드의 함정
개발자들이 가장 큰 불만으로 꼽은 것은 “거의 맞지만 완전히 정확하지 않은 AI 솔루션”이었습니다. 무려 66%의 개발자가 이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틀린 답보다 더 위험한 문제입니다. 명백히 잘못된 코드는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거의 맞는 코드는 미묘한 버그를 숨기고 있어 발견하기 어렵고 디버깅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45%의 개발자가 “AI 생성 코드 디버깅이 더 시간 소모적”이라고 답했으며, 20%의 개발자는 “자신의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졌다”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경험이 적은 주니어 개발자들이 AI가 생성한 코드에 대한 잘못된 확신을 갖게 되면서 더 큰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Stack Overflow로 돌아오는 개발자들
흥미롭게도 35%의 개발자가 AI 관련 문제 때문에 Stack Overflow를 방문한다고 답했습니다. AI 도구가 제공한 코드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결국 사람의 도움을 구하러 커뮤니티로 돌아온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AI 시대에도 인간 검증의 가치가 여전히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미래에 AI가 대부분의 코딩 작업을 할 수 있다면 언제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겠느냐”는 질문에 75%의 개발자가 “AI의 답을 신뢰하지 않을 때”라고 답했습니다.

AI 에이전트는 아직 먼 미래
AI 도구 중에서도 특히 주목받는 AI 에이전트의 경우, 아직 주류로 자리잡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2%의 개발자가 AI 에이전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단순한 AI 도구만 사용한다고 답했고, 38%는 아예 도입할 계획이 없다고 했습니다.
“바이브 코딩”(프롬프트로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방식)의 경우 더욱 회의적이었습니다. 72%의 개발자가 바이브 코딩을 전문 업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추가로 5%는 강하게 반대한다고 응답했습니다.
AI 도구 선호도 변화
LLM 모델별로 살펴보면, OpenAI GPT 모델이 81%의 압도적 사용률을 보였지만, 만족도 면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습니다. Claude Sonnet이 가장 선호되는 AI 모델로 나타났으며, 전문 개발자들 사이에서 특히 높은 선호도(45%)를 보였습니다.
Python의 사용률이 7% 포인트 증가하여 57.9%를 기록한 것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AI 개발과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의 성장과 직결된 현상으로 분석됩니다.
개발자 업무 환경의 변화
AI 도구 도입이 개발자들의 학습 패턴도 바꾸고 있습니다. 36%의 개발자가 AI 관련 기술을 학습했고, 44%는 AI 도구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프로그래밍 기법이나 언어를 익혔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AI 도구에 대한 전반적인 호감도는 2024년 70%에서 2025년 60%로 하락했습니다. 사용은 늘어나지만 만족도는 떨어지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실적 시사점과 앞으로의 방향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AI 도구가 개발자 생태계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잡았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거의 맞는” 코드 문제는 AI 기술의 예측적 특성상 완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본질적 한계로 보입니다.
개발자들은 AI 도구를 효율성 향상의 보조 수단으로 활용하되, 최종 검증과 품질 관리는 여전히 인간의 몫이라는 현실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AI와 인간 개발자가 완전한 대체 관계가 아닌 협업 관계로 발전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AI 도구를 도입하려는 개발팀이라면 단순히 생산성 향상만을 기대하기보다는, 코드 리뷰와 품질 검증 프로세스를 더욱 강화하고, 개발자들의 AI 리터러시 교육에도 투자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자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