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시간을 가장 많이 잡아먹는 건 새 코드 작성이 아닙니다. 바로 남이 쓴 코드 읽기죠. Google은 이 문제를 AI로 풀겠다며 Code Wiki를 공개 프리뷰로 출시했습니다.

Google Cloud Developer 팀이 발표한 이 플랫폼은 코드 레포지토리를 스캔해서 자동으로 위키 문서를 생성하고, Gemini 기반 챗봇이 이를 활용해 질문에 답합니다. 신입 개발자가 첫날부터 커밋하고, 시니어 개발자가 몇 분 만에 새 라이브러리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게 핵심 메시지입니다.
출처: Introducing Code Wiki: Accelerating your code understanding – Google Developers Blog
기존 도구들과 뭐가 다를까?
코드 문서화 도구는 이미 많습니다. Doxygen, Sphinx, Javadoc 같은 도구들이 수십 년간 사용돼왔죠. 이런 도구들은 주석이나 docstring을 읽어서 API 레퍼런스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문제는 세 가지예요.
첫째, 개발자가 직접 주석을 작성해야 합니다. 주석이 빠지거나 오래되면 문서도 쓸모없어지죠. 둘째, 생성된 문서는 정적입니다. 코드가 바뀌어도 문서는 그대로 있어요. 셋째, 문서를 읽다가 궁금한 게 생기면 직접 코드를 뒤져야 합니다.
Code Wiki는 이 세 가지를 모두 해결합니다. 주석 없이도 전체 코드베이스를 분석해서 문서를 만들고, 코드가 바뀔 때마다 자동으로 재생성하며, AI 챗봇이 질문에 즉답합니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살아있는 문서
Code Wiki의 핵심은 “자동화”와 “실시간”입니다. 코드에 변경이 생기면 전체 레포지토리를 다시 스캔해서 문서를 새로 만듭니다. 수동으로 문서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어요.
생성된 문서는 단순 텍스트가 아닙니다.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 시퀀스 다이어그램까지 자동으로 그려주죠. 그것도 코드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반영한 최신 버전으로요.
더 중요한 건 하이퍼링크 통합입니다. 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개념이 실제 코드 파일, 클래스, 함수와 직접 연결됩니다. 설명을 읽다가 클릭 한 번이면 해당 코드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요.
Gemini가 당신의 코드베이스를 완벽히 아는 상황
Code Wiki에는 Gemini 기반 챗봇이 통합돼 있습니다. 범용 AI 챗봇과는 다릅니다. 전체 코드베이스를 컨텍스트로 학습한 상태에서 질문에 답하죠.
“이 모듈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해줘”, “이 함수는 어디서 호출되는지 찾아줘”, “이 버그를 고치려면 어떤 코드를 봐야 할까?” 같은 질문에 즉답합니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위키가 지식 베이스이기 때문에 항상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첫날 커밋과 몇 분 만에 라이브러리 파악
Google은 Code Wiki의 가치를 두 가지로 설명합니다.
신입 개발자는 레거시 코드를 며칠씩 읽지 않아도 됩니다. AI에게 물어보면서 필요한 부분만 빠르게 파악하고 첫날부터 실제 커밋을 할 수 있어요.
시니어 개발자도 새로운 라이브러리나 외부 오픈소스를 쓸 때 시간을 아낍니다. 몇 분 안에 구조를 이해하고 바로 활용할 수 있죠.
프라이빗 레포도 곧 지원
현재 Code Wiki 웹사이트는 공개 오픈소스 레포지토리만 지원합니다. 하지만 Google은 Gemini CLI 확장 프로그램을 준비 중입니다. 이게 나오면 팀 내부의 프라이빗 레포에도 Code Wiki를 로컬에서 안전하게 돌릴 수 있어요.
특히 원작자가 퇴사하고 없는 레거시 코드를 다룰 때 유용할 겁니다. 회사 내부 시스템일수록 문서화가 부실한 경우가 많거든요.
문서 작성 부담 vs. 코드 이해 속도
개발자들은 오랫동안 두 가지 중 하나를 포기해야 했습니다. 문서를 꼼꼼히 작성하면 개발 속도가 느려지고, 개발 속도를 우선하면 문서가 방치됩니다.
Code Wiki는 이 트레이드오프를 없앱니다. 문서 작성 부담 없이 항상 최신 문서를 유지하면서도, 코드 이해 속도는 극적으로 빨라지죠. Google이 “개발자는 이제 코드를 해독하는 데 시간을 쓰지 말고 진짜 개발에 집중하라”고 말하는 이유입니다.
Code Wiki는 현재 codewiki.google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