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parkup

복잡한 AI 세상을 읽는 힘 ⚡

Sakana AI, 초거대 모델 대신 ‘일본 특화 AI’로 1년 만에 기업가치 2배 성장

OpenAI, Google, Anthropic이 초거대 언어모델 경쟁을 벌이는 동안, 정반대 전략으로 성공한 스타트업이 있습니다. “작고 효율적이며 일본어와 일본 문화에 최적화된 AI”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출발한 Sakana AI가 1년 만에 기업가치를 2배로 끌어올렸습니다.

사진 출처: TechCrunch

도쿄 기반 AI 스타트업 Sakana AI가 시리즈 B 라운드에서 1억 3,500만 달러(약 2,000억 원)를 투자받았습니다. 이번 투자로 기업가치는 26.5억 달러(약 3조 7천억 원)에 달하며, 1년 전 15억 달러에서 거의 2배 성장했습니다.

출처: Sakana AI raises $135M Series B at a $2.65B valuation to continue building AI models for Japan – TechCrunch

작고 효율적인 AI가 답이다

Sakana AI는 2023년 구글 출신 연구자 Llion Jones, Ren Ito, David Ha가 창업했습니다. 이들이 선택한 전략은 명확했습니다. 수천억 원을 들여 파라미터 수백억 개짜리 거대 모델을 만드는 대신, 작은 데이터셋으로도 잘 작동하는 효율적인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었죠.

핵심은 ‘일본어와 일본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입니다. 단순히 일본어를 잘하는 AI가 아니라, 일본 비즈니스 관행과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AI를 목표로 했습니다. 이런 접근은 실제로 통했습니다.

올해 Sakana AI는 미쓰비시 UFJ 은행, 다이와증권 같은 일본 주요 금융기관과 협업하며 실제 비즈니스 성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도 미쓰비시 UFJ 금융그룹이 참여했고, Khosla Ventures, NEA, Lux Capital 같은 글로벌 벤처캐피털도 합류했습니다.

주권 AI 시대의 신호탄

CEO David Ha는 “국가의 문화와 가치를 반영하는 주권 AI 솔루션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강력하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프랑스의 Mistral AI, 중국의 DeepSeek, 이스라엘의 AI21 Labs 같은 스타트업들도 비슷한 전략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Sakana AI의 R&D 전략입니다. 이들은 처음부터 거대 모델을 학습시키는 대신, 이미 학습된 LLM을 특정 용도에 맞게 최적화하는 데 집중합니다. 이런 ‘포스트-트레이닝’ 접근법이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일본 시장에 딱 맞는 모델을 만드는 비결이었죠.

Sakana AI는 2026년에 금융을 넘어 제조업, 정부 부문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방위산업과 정보기관 분야도 타깃으로 삼고 있어, ‘주권 AI’의 전략적 가치가 더욱 부각될 전망입니다.

거대 AI 모델 경쟁이 한창인 지금, Sakana AI의 성공은 하나의 질문을 던집니다. 모든 나라가 OpenAI나 Google의 범용 AI를 써야 할까요, 아니면 각국의 언어와 문화에 맞춘 ‘AI 주권’이 더 중요할까요? 적어도 일본 시장에서는 후자가 답이었습니다.


AI Sparkup 구독하기

최신 게시물 요약과 더 심층적인 정보를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무료)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