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와 NVIDIA가 AI 초지능 개발을 위해 1,000억 달러 규모의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10기가와트 전력을 소비하는 이 프로젝트는 원자력 발전소 10개에 맞먹는 규모죠.
지난 9월 22일, 두 회사가 발표한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은 “역사상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프로젝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수백만 개의 NVIDIA GPU로 구성된 거대한 AI 공장이 2026년 하반기부터 가동될 예정이에요.
1,000억 달러의 순환 투자 구조
이번 파트너십의 가장 흥미로운 점은 투자 구조입니다. NVIDIA가 OpenAI에 1,000억 달러를 투자하면, OpenAI는 그 돈으로 다시 NVIDIA의 GPU와 시스템을 구매하는 방식이거든요.

투자 전문가 브린 톨킹턴은 CNBC에서 “NVIDIA가 OpenAI에 1,000억 달러를 투자하면, OpenAI는 그 돈을 다시 NVIDIA에게 돌려준다”며 “젠슨(황 CEO)에게는 매우 유리한 구조”라고 분석했습니다.
첫 번째 10억 달러 투자는 첫 기가와트가 완성되는 시점에 이뤄집니다. 이후 각 기가와트가 배치될 때마다 점진적으로 투자가 진행되죠. 투자는 그 시점의 기업 가치를 기준으로 이뤄집니다.
상상을 초월하는 전력 소비
10기가와트가 얼마나 큰 규모일까요? 일반적인 원자력 발전소 한 기의 출력이 약 1기가와트입니다. 즉, 이 프로젝트는 원자력 발전소 10개에 맞먹는 전력을 소비하게 됩니다.
젠슨 황 NVIDIA CEO는 CNBC 인터뷰에서 “10기가와트는 400만~500만 개의 GPU에 해당한다”며 “이는 우리가 올해 출하하는 전체 물량이자 작년의 2배”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한 기가와트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는 500억~600억 달러가 필요합니다. 이 중 약 350억 달러가 NVIDIA 칩과 시스템에 들어가죠. 10기가와트라면 총 투자 규모가 5,000억 달러를 넘을 수도 있어요.

Microsoft와의 미묘한 관계 변화
이번 파트너십은 OpenAI와 Microsoft 관계에도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2019년부터 이어온 독점적 파트너십이 조금씩 느슨해지고 있거든요.
올해 1월, Microsoft는 더 이상 OpenAI의 유일한 컴퓨팅 제공업체가 아니라고 발표했습니다. 대신 “우선 거절권”만 갖게 됐죠. OpenAI가 새로운 컴퓨팅 파트너를 찾을 때 Microsoft에게 먼저 제안하지만, Microsoft가 거절하면 다른 업체와 계약할 수 있게 된 겁니다.
이는 OpenAI의 전략적 독립성 확보 차원으로 해석됩니다. ChatGPT가 현재 주간 활성 사용자 7억 명을 돌파하면서 더 많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해졌고, Microsoft 하나로는 한계가 있었던 거죠.
알트만 CEO는 CNBC 인터뷰에서 NVIDIA와 Microsoft를 “수동적 투자자”이자 “가장 중요한 두 파트너”라고 언급했습니다.
AI 초지능을 향한 인프라 경쟁
이번 파트너십의 핵심 목표는 AGI(인공일반지능)를 넘어선 AI 초지능 개발입니다. 현재 ChatGPT보다 훨씬 더 강력한 AI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뜻이에요.
샘 알트만은 “모든 것은 컴퓨팅에서 시작된다”며 “컴퓨팅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 “지능 단위당 비용은 계속 떨어질 것이지만, AI의 최전선인 최대 지적 능력은 계속 올라간다”고 설명했어요.
첫 번째 기가와트 시스템은 2026년 하반기부터 가동됩니다. NVIDIA의 차세대 Vera Rubin 플랫폼을 사용하죠. Vera Rubin 플랫폼은 HBM4 메모리와 함께 더욱 강력한 AI 훈련과 추론 성능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젠슨 황은 “2016년 첫 번째 DGX 서버와 비교하면 10억 배 더 많은 컴퓨팅 파워”라며 “우리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모든 사용 사례, 모든 기기에 지능을 연결하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에너지 문제와 원자력 경쟁
이런 대규모 AI 인프라는 필연적으로 에너지 문제를 불러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 데이터센터는 이미 2024년 전 세계 전력의 1.5%를 소비했어요. AI 확산으로 이 수치는 2030년 945테라와트시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빅테크 기업들은 원자력 발전소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Microsoft는 2024년 9월 스리마일 아일랜드 원자력 발전소를 재가동하는 20년 계약을 체결했어요. 835메가와트 규모죠.
아마존도 펜실베니아의 서스퀘하나 원자력 발전소 옆에 데이터센터를 구입해 최대 960메가와트를 사용할 계획입니다.
와이오밍주 샤이엔에서도 10기가와트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이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와이오밍주 전체 가정용 전력 소비량보다 많은 전력을 사용하게 돼요.
투자자들의 뜨거운 반응
이번 파트너십 발표 후 NVIDIA 주가는 약 4% 상승했습니다. 하루 만에 시가총액이 1,700억 달러 늘어나 4조 5,000억 달러에 근접했죠.
NVIDIA는 최근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는 인텔에 5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고, 영국 데이터센터 스타트업 Nscale에 7억 달러 가까이 투자했어요. AI 스타트업 엔파브리카 인수에도 9억 달러 이상을 썼습니다.
젠슨 황은 “이번 1,000억 달러 투자는 기존에 발표된 모든 약속에 추가되는 것”이라며 “월스트리트에 말한 재무 전망에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미래를 바꿀 거대한 베팅
OpenAI와 NVIDIA의 파트너십은 단순한 비즈니스 계약을 넘어선 의미를 갖습니다. AI 초지능이라는 미래를 향한 거대한 베팅이죠.
알트만은 “앞으로 몇 달간 우리로부터 많은 것을 기대해도 된다”며 “OpenAI가 잘해야 할 세 가지가 있다. 훌륭한 AI 연구, 사람들이 사용하고 싶어하는 제품 만들기, 그리고 전례 없는 인프라 도전 해결하기”라고 말했습니다.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우리는 정말로 인간 지능을 뛰어넘는 AI를 만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원자력 발전소 10개에 맞먹는 전력을 소비하는 AI 공장에서 말이에요.
참고자료:
- OpenAI and NVIDIA announce strategic partnership
- NVIDIA, OpenAI Announce ‘Biggest AI Infrastructure Deployment in History’
- Nvidia is partnering up with OpenAI to offer compute and cash – The Verge
- OpenAI and Nvidia’s $100B AI plan will require power equal to 10 nuclear reactors – Ars Technica
- Nvidia to invest up to $100 billion in OpenAI data center buildout – CNBC
- Microsoft and OpenAI evolve partnership – Microsoft Blo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