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parkup

복잡한 AI 세상을 읽는 힘 ⚡

Qwen3-Coder: 알리바바가 선보인 차세대 에이전틱 코딩 AI – Claude급 성능의 오픈소스 모델

핵심 요약: 알리바바가 출시한 Qwen3-Coder는 480B 파라미터의 오픈소스 AI 코딩 모델로, Claude Sonnet 4와 비교할 만한 성능을 보이며 단순 코드 생성을 넘어 에이전틱 코딩을 지원합니다.

AI 코딩 도구 시장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알리바바가 최근 공개한 Qwen3-Coder는 기존의 코드 생성 AI를 넘어선 ‘에이전틱 코딩(Agentic Coding)’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발자 커뮤니티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Qwen3-Coder 메인 이미지
Qwen3-Coder의 에이전틱 코딩 능력을 보여주는 메인 이미지 (출처: Qwen 공식 블로그)

차원이 다른 기술적 혁신

Qwen3-Coder의 가장 인상적인 특징은 480B 파라미터의 Mixture-of-Experts(MoE) 아키텍처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35B 파라미터만 활성화되어 효율적인 연산이 가능합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256K 토큰의 컨텍스트를 기본 지원하며, YaRN 기법을 통해 최대 1M 토큰까지 확장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단순히 숫자가 큰 것을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256K 토큰은 대략 19만 단어에 해당하는 양으로, 중간 규모의 코드베이스 전체를 한 번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즉, 개발자가 “이 프로젝트의 버그를 찾아서 고쳐줘”라고 요청하면, AI가 전체 프로젝트 구조를 파악한 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알리바바는 모델 훈련에도 혁신적인 접근법을 적용했습니다. 7.5조 토큰의 대규모 데이터셋을 사용했는데, 이 중 70%가 코드 데이터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실행 기반 강화학습(Execution-driven RL)’을 대규모로 적용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AI가 코드를 작성한 후 실제로 실행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하는 방식입니다.

에이전틱 코딩이란 무엇인가

기존의 AI 코딩 도구들은 대부분 “코드 생성기” 수준이었습니다. 개발자가 요구사항을 설명하면 해당하는 코드를 만들어주는 방식이죠. 하지만 Qwen3-Coder가 제시하는 에이전틱 코딩은 완전히 다른 접근법입니다.

에이전틱 코딩에서 AI는 마치 숙련된 개발자처럼 행동합니다. 문제를 파악하고, 계획을 세우고, 도구를 사용하고, 결과를 확인하고, 피드백을 받아 개선하는 전체 과정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 결제 기능을 추가해줘”라는 요청을 받으면:

  1. 현재 코드베이스를 분석해 기존 구조를 파악
  2. 결제 시스템 구현 계획을 수립
  3.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API를 선택
  4. 단계별로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
  5. 에러가 발생하면 디버깅하고 수정
  6. 전체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지 검증

이 모든 과정을 AI가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에이전틱 코딩의 핵심입니다.

Code RL 프로세스
Qwen3-Coder의 실행 기반 강화학습 프로세스 (출처: Qwen 공식 블로그)

뛰어난 성능, 검증된 실력

Qwen3-Coder의 성능은 여러 벤치마크에서 입증되고 있습니다. 특히 SWE-Bench Verified에서 테스트 타임 스케일링 없이도 오픈소스 모델 중 최고 성능을 기록했습니다. SWE-Bench는 실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작업을 평가하는 가장 까다로운 벤치마크 중 하나로, GitHub의 실제 이슈들을 AI가 해결할 수 있는지 테스트합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Qwen3-Coder가 중국 내 경쟁 모델들인 DeepSeek, K2 등을 모두 능가했을 뿐만 아니라, Anthropic의 Claude Sonnet 4와 비교해도 특정 영역에서 동등한 성능을 보인다는 점입니다. 이는 오픈소스 모델이 상용 모델과 견줄 만한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성능 향상의 비결은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한 대규모 병렬 처리에 있습니다. 2만 개의 독립적인 환경을 동시에 실행하며 강화학습을 진행한 결과, AI가 다양한 상황에서 코딩 능력을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 사용법: 3가지 방법

Qwen3-Coder를 실제로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Qwen Code CLI 도구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알리바바에서 개발한 Qwen Cod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Node.js 20 이상이 설치된 환경에서 다음 명령어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npm i -g @qwen-code/qwen-code

설치 후 환경변수를 설정하면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export OPENAI_API_KEY="your_api_key_here"
export OPENAI_BASE_URL="https://dashscope-intl.aliyuncs.com/compatible-mode/v1"
export OPENAI_MODEL="qwen3-coder-plus"

이제 터미널에서 qwen 명령어만 입력하면 AI 코딩 어시스턴트가 활성화됩니다.

2. Claude Code와 연동

흥미롭게도 Qwen3-Coder는 Anthropic의 Claude Code 도구와도 호환됩니다. 이는 기존에 Claude Code를 사용하던 개발자들이 별도의 학습 없이 Qwen3-Coder를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npm install -g @anthropic-ai/claude-code

export ANTHROPIC_BASE_URL=https://dashscope-intl.aliyuncs.com/api/v2/apps/claude-code-proxy
export ANTHROPIC_AUTH_TOKEN=your-dashscope-apikey

3. Cline 연동

VS Code 확장 프로그램인 Cline과도 연동 가능합니다. Cline 설정에서 API Provider를 ‘OpenAI Compatible’로 선택하고, Dashscope API 키와 베이스 URL을 입력하면 됩니다.

개발자에게 미치는 영향

Qwen3-Coder의 등장은 개발자 커뮤니티에 여러 가지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째, 접근성의 혁신입니다. 기존의 고성능 AI 코딩 도구들은 대부분 유료 서비스였지만, Qwen3-Coder는 완전한 오픈소스로 제공됩니다. 이는 스타트업이나 개인 개발자들도 최신 AI 기술을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

둘째,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입니다. 단순히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넘어, AI가 프로젝트 전체를 이해하고 복잡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개발자의 역할이 ‘코드 작성자’에서 ‘프로젝트 기획자 및 감독자’로 변화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셋째, 경쟁 구도의 재편입니다. 중국의 AI 기업이 개발한 오픈소스 모델이 미국의 상용 모델과 비교할 만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은 글로벌 AI 시장의 경쟁 구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SWE-Bench 성능
Qwen3-Coder의 SWE-Bench 벤치마크 성능 (출처: Qwen 공식 블로그)

향후 전망과 과제

알리바바는 Qwen3-Coder의 향후 발전 방향으로 ‘자기 개선(Self-improvement)’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AI가 스스로 코딩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실현된다면 AI 개발 도구의 판도를 완전히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에이전틱 코딩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때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중요합니다. AI가 자율적으로 코드를 수정하고 시스템을 변경할 때,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개발자들의 학습 곡선도 고려해야 합니다. 기존의 단순한 코드 생성 도구와 달리, 에이전틱 코딩은 AI와의 협업 방식을 새롭게 학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Qwen3-Coder는 AI 코딩 도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오픈소스로 제공되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큽니다. 개발자라면 한 번쯤 직접 체험해보며 에이전틱 코딩의 잠재력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AI Sparkup 구독하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