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parkup

복잡한 AI 세상을 읽는 힘 ⚡

ChatGPT 독주 시대의 종말? Google과 Grok의 반격이 시작됐다

2년 반간 ChatGPT가 지배해온 AI 챗봇 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Google Gemini가 모바일에서 ChatGPT 사용자의 절반 수준까지 따라잡았고, Grok은 8개월 만에 2천만 사용자를 돌파했습니다.

벤처캐피탈 a16z(Andreessen Horowitz)가 최근 발표한 제5차 “상위 100개 생성형 AI 소비자 앱” 보고서는 충격적인 사실을 보여줍니다. ChatGPT의 아성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AI 웹 서비스 상위 50개 순위
AI 웹 서비스 상위 50개 순위 (출처: a16z)

Google의 4중 공격이 시작됐다

Google이 드디어 본격적인 반격에 나섰습니다.

Gemini는 웹에서 ChatGPT 방문자의 12%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더욱 인상적입니다. ChatGPT 월간 활성 사용자의 거의 절반 수준까지 따라잡았거든요. 특히 안드로이드에서 압도적입니다. Gemini 사용자의 90%가 안드로이드를 사용하고 있어요.

하지만 Google의 진짜 전략은 따로 있습니다. 생태계 전체로 공격하는 것이죠.

AI Studio가 처음으로 상위 10위 안에 들었습니다. 개발자들을 위한 Gemini 모델 샌드박스인데, 멀티모달 모델을 직접 테스트해볼 수 있어요.

NotebookLM은 13위를 기록했습니다. 이 도구는 지난해 AI 팟캐스트 기능으로 입소문을 탔죠. 문서를 업로드하면 두 AI가 마치 실제 진행자처럼 대화하는 팟캐스트를 만들어줍니다.

Google Labs는 39위에 올랐습니다. 구글의 AI 실험들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에요. 올해 5월 비디오 모델 Veo 3 출시 후 트래픽이 13% 급증했다고 합니다.

구글 AI 제품들의 트래픽 현황
구글 AI 제품들의 트래픽 현황 (출처: a16z)

Grok의 놀라운 질주

Grok의 성장은 정말 놀랍습니다.

2024년 말까지만 해도 독립적인 앱조차 없었어요. X(옛 트위터)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죠. 그런데 지금은 2천만 월간 활성 사용자를 돌파했습니다. 웹에서 4위, 모바일에서 23위를 기록했어요.

특히 올해 7월에 크게 도약했습니다. Grok 4 모델 출시와 함께 사용자가 40% 증가했거든요. 일론 머스크는 Grok 4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AI”라고 자랑했습니다.

Grok의 성공 비결은 무엇일까요?

첫째, X라는 플랫폼의 힘입니다. 실시간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X 내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어요.

둘째, 차별화된 개성입니다. 다른 AI들보다 자유분방하고 도발적인 답변을 내놓죠. 심지어 NSFW(성인용) 콘텐츠도 다룹니다.

Grok 모바일 앱 일간 활성 사용자 증가 추이
Grok 모바일 앱 일간 활성 사용자 증가 추이 (출처: a16z)

중국 AI의 글로벌 진출

중국 AI 기업들의 해외 진출도 눈에 띕니다.

웹 상위 50개 중 무려 10개가 중국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이 중 3개(Quark, Doubao, Kimi)는 중국 내수용이고, 나머지 7개(DeepSeek, 하일루오, 클링 등)는 해외 수출용입니다.

모바일은 더 극적입니다. 상위 50개 중 22개가 중국산이에요. 하지만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건 3개뿐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해외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고 있어요.

특히 비디오 생성 분야에서 중국 기업들이 앞서고 있습니다. 저작권 규제가 느슨해 더 많은 데이터로 학습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구글의 Veo 3가 유튜브 데이터로 학습해 이 격차를 좁혔지만, 여전히 중국 모델들이 강세입니다.

Vibe Coding의 부상

새로운 트렌드가 하나 더 있습니다. “Vibe Coding”입니다.

자연어로 앱을 만드는 도구들이 인기를 끌고 있어요. Lovable은 22위로 뛰어올랐고, Replit도 상위권에 진입했습니다.

Lovable의 경우 사용자 유지율이 100%를 넘습니다. 탈퇴하는 사용자가 있어도, 남은 사용자들이 더 많이 사용해서 전체 매출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요.

이들 도구의 성장은 다른 AI 서비스에도 도움이 됩니다. Lovable이나 Replit로 만든 사이트들이 각각의 도메인 트래픽을 늘려주거든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Supabase의 트래픽도 Vibe Coding 도구들과 함께 급성장했습니다.

Vibe Coding 도구들의 월간 방문자 증가 추이
Vibe Coding 도구들의 월간 방문자 증가 추이 (출처: a16z)

AI 시장의 성숙과 미래 전망

2년 반간의 데이터가 보여주는 것은 명확합니다. AI 소비자 앱 시장이 성숙해지고 있다는 것이죠.

14개의 “올스타” 기업들이 5번의 보고서에 계속 등장했습니다. ChatGPT, Perplexity, Character AI, Midjourney 등이죠. 이들은 각각 다른 영역을 담당하고 있어요. 대화형 AI, 검색, 캐릭터 챗봇, 이미지 생성 등 말이에요.

흥미롭게도 이 14개 기업 중 5개만 자체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머지는 API나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하고 있어요. 결국 모델 자체보다는 사용자 경험과 특화된 기능이 더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지역적으로도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미국, 영국, 호주, 중국, 프랑스 등 5개국에서 올스타들이 나왔어요. 미드저니와 Cutout Pro를 제외하면 모두 벤처 투자를 받았습니다.

변화하는 AI 생태계의 교훈

이번 보고서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일까요?

첫째, 플랫폼의 힘입니다. Google은 안드로이드와 검색의 힘으로, Grok은 X의 실시간 데이터로 차별화했습니다.

둘째, 특화의 중요성입니다. 범용 AI에서 벗어나 특정 용도에 최적화된 도구들이 성공하고 있어요. NotebookLM의 팟캐스트 기능, Vibe Coding 도구들처럼 말이에요.

셋째, 글로벌 경쟁의 심화입니다. 중국 기업들이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고, 각국의 규제와 문화적 차이가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있습니다.

ChatGPT의 독주 시대가 끝나고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이제 AI 시장은 각자의 강점을 살린 다극 경쟁 체제로 접어들고 있어요. 사용자들에게는 더 다양한 선택지가, 기업들에게는 더 치열한 경쟁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Fediverse 반응

AI Sparkup 구독하기

최신 게시물 요약과 더 심층적인 정보를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무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