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이 MCP 서버를 한 곳에서 쉽게 찾고 VS Code에서 원클릭으로 설치할 수 있는 GitHub MCP Registry를 출시했습니다. 이미 여러 MCP 서비스가 있지만 GitHub만의 독특한 접근 방식이 주목받고 있어요.
지금까지 AI 에이전트와 개발 도구를 연결하는 일은 정말 골치 아픈 일이었습니다. MCP 서버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서 찾기도 어렵고, 설치하기도 복잡했거든요. 그런데 GitHub이 이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법을 내놓았습니다.
이미 차고 넘치는 MCP 서비스들, 그런데 또?
MCP 생태계를 둘러보면 이미 선택지가 넘쳐납니다. MCPmarket에는 14,370개의 서버가, MCPgee는 ‘세계 최대 MCP 서버 발견 플랫폼’이라고 자칭하고, MCP.so에는 16,590개의 서버가 등록되어 있어요. Docker Hub도 있고 심지어 공식 Anthropic MCP Registry도 따로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GitHub이 또 다른 레지스트리를 만들었을까요? 답은 ‘통합’에 있습니다.
GitHub MCP Registry만의 차별화 포인트
VS Code 네이티브 통합의 마법
기존 MCP 서비스들과 GitHub MCP Registry의 가장 큰 차이점은 VS Code와의 완벽한 통합입니다. 다른 서비스들은 MCP 서버를 찾은 후에도 복잡한 설정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GitHub MCP Registry는 정말 원클릭입니다.
- GitHub MCP Registry에서 원하는 서버 찾기
- “Install in VS Code” 버튼 클릭
- 끝
설정 파일을 만들거나 복잡한 명령어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요. VS Code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Marketplace 페이지로 이동하고, 설치 버튼만 누르면 됩니다.
Anthropic과의 공식 파트너십
GitHub MCP Registry는 Anthropic 및 MCP Steering Committee와 직접 협력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단순한 서버 목록이 아니라 표준화된 품질 보증 시스템이라는 뜻이에요.
다른 서비스들이 커뮤니티 기반으로 운영되는 반면, GitHub은 공식적인 검증 프로세스를 제공합니다. Figma, Postman, HashiCorp, Dynatrace 같은 대기업들이 런칭 파트너로 참여한 것도 이런 신뢰성 때문입니다.
GitHub Stars 기반 신뢰도 평가
GitHub MCP Registry의 또 다른 장점은 GitHub Stars를 활용한 품질 평가 시스템입니다. 이미 개발자들에게 익숙한 GitHub의 평가 체계를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어떤 서버가 좋은지 쉽게 알 수 있어요.
MCPmarket이나 MCPgee도 나름의 평가 시스템이 있지만, GitHub의 기존 생태계와 연결된 자연스러운 신뢰도 평가는 독특한 강점입니다.
주요 런칭 파트너들의 참여
GitHub MCP Registry 출시와 함께 주요 기업들이 공식 MCP 서버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Figma의 Anna Kohnen VP는 “개발자들이 Figma의 디자인 시스템을 Copilot에서 바로 활용해 프로덕션 레디 코드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했어요.
Postman의 Bajali Raghavan 엔지니어링 헤드는 “MCP를 AI 에이전트 스택의 핵심 레이어로 보고 있으며, GitHub MCP Registry를 통해 코딩 어시스턴트 안에서 전체 Postman 플랫폼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HashiCorp는 공식 Terraform MCP 서버를 제공해서 개발자들이 인프라 관리 작업을 일상적인 개발 워크플로우에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했어요.

실제 사용법: 이렇게 간단해요
GitHub MCP Registry 사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GitHub MCP Registry를 통한 설치:
- GitHub MCP Registry 방문
- 검색창에서 원하는 MCP 서버 검색
- 서버 페이지에서 “Install server” → “Install in VS Code” 클릭
- VS Code가 열리면 “Install” 버튼 클릭
수동 설정 방법:
프로젝트별로 설정하려면 .vscode/mcp.json
파일을 만들어서 설정할 수도 있어요.
{
"inputs": [
{
"type": "promptString"
}
],
"servers": {
"fetch": {
"command": "uvx",
"args": ["mcp-server-fetch"]
}
}
}
사용하기:
설정이 끝나면 Copilot Chat에서 Agent 모드를 선택하고 도구 아이콘을 클릭해서 사용 가능한 MCP 서버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생태계와의 통합 전략
GitHub의 진짜 전략은 기존 MCP 생태계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하는 것입니다.
GitHub은 오픈소스 MCP Community Registry와 연동해서 개발자들이 자체 게시한 서버들이 자동으로 GitHub MCP Registry에도 나타나도록 할 계획이에요. 이렇게 되면:
- 중복된 레지스트리 관리 필요 없음
- 투명한 메타데이터와 검증 신호 제공
- 생태계 전반의 대규모 기여 가능
이는 기존 서비스들과 경쟁하기보다는 표준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는 GitHub의 의도를 보여줍니다.
Remote GitHub MCP Server의 특별함
GitHub MCP Registry에는 최근 정식 출시된 Remote GitHub MCP Server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서버는 AI 에이전트가 GitHub 리포지토리, 이슈, 풀 리퀘스트의 풍부한 컨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줘요.
다른 MCP 서버들이 외부 서비스와의 연결에 중점을 둔다면, Remote GitHub MCP Server는 개발 워크플로우 자체를 AI와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GitHub이 단순한 레지스트리 제공자가 아니라 개발 생태계의 중심에 서려는 전략을 보여줍니다.

향후 전망: 개발자 도구 생태계의 변화
GitHub MCP Registry의 등장은 단순한 새로운 서비스 출시가 아닙니다. 이는 AI 도구 발견과 통합 방식의 표준화를 의미해요.
기존에는 각각의 MCP 서버를 찾고,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개발자의 몫이었습니다. 하지만 GitHub의 접근 방식은 이런 복잡성을 IDE 레벨에서 해결하려고 해요.
앞으로는 “AI 도구를 찾아서 설치한다”는 개념보다는 “필요한 기능을 IDE에서 바로 검색하고 사용한다”는 방식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편집자 한마디] GitHub MCP Registry는 이미 존재하는 여러 MCP 서비스들과 경쟁하기보다는, 개발자 경험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생태계를 발전시키고 있어요. VS Code와의 완벽한 통합, 공식 파트너십을 통한 품질 보증, 그리고 오픈소스 생태계와의 연동까지. 단순한 서버 목록이 아니라 진짜 개발 워크플로우의 일부가 되는 것이 GitHub MCP Registry의 진짜 가치인 것 같습니다.
참고자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