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가 모든 사람을 위한 ‘개인용 초지능’ 구축을 선언하며, 중앙집권적 AI 자동화가 아닌 개인 맞춤형 AI 어시스턴트를 통해 AI 안경 중심의 새로운 컴퓨팅 시대를 제시했습니다.
2025년 7월 30일, 마크 저커버그는 메타의 AI 비전을 담은 공개서한을 통해 업계에 강력한 메시지를 던졌습니다. “개인용 초지능(Personal Superintelligence)”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메타가 추구하는 AI의 미래가 다른 빅테크 기업들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개인용 초지능이란 무엇인가
저커버그가 제시한 개인용 초지능은 단순히 업무를 자동화하는 AI가 아닙니다. 그는 “당신의 목표 달성을 돕고, 당신이 세상에서 보고 싶은 것을 창조하며, 어떤 모험이든 경험하게 하고, 소중한 사람들에게 더 나은 친구가 되도록 도우며, 당신이 되고 싶은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AI를 그리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AI 업계의 주류 접근법과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대부분의 AI 기업들이 “모든 가치 있는 일을 자동화하여 인류가 그 결과물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중앙집권적 방식을 추구하는 반면, 메타는 개인의 선택과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을 택했습니다.
저커버그는 “사람들이 개인적 열망을 추구하는 것이 번영, 과학, 건강, 문화를 확장시키며 진보를 만들어온 방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능력을 증폭시키는 도구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철학을 반영합니다.
메타 vs 경쟁사: 서로 다른 AI 철학
메타의 접근 방식을 이해하려면 경쟁사들과의 차이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OpenAI의 CEO 샘 알트만은 AI가 사회의 많은 일자리를 대체하고 결국 범용 기본소득 형태로 이어질 것이라고 공공연히 말해왔습니다. Google DeepMind나 Anthropic 역시 인간 수준을 뛰어넘는 범용 인공지능(AGI)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반면 메타는 AI를 개인의 확장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커버그는 “우리가 깊이 알고, 우리의 목표를 이해하며, 그 달성을 도울 수 있는 개인용 초지능이 가장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차별화된 접근은 메타의 대규모 투자에서도 확인됩니다. 메타는 올해 6월 Scale AI에 143억 달러를 투자하며 49% 지분을 확보했고, Scale AI의 CEO 알렉산드르 왕을 영입해 새로운 초지능 연구소를 설립했습니다. 또한 OpenAI, Google DeepMind, Anthropic, Apple 등에서 최고 인재들을 스카우트하며 일부에게는 1억 달러 규모의 패키지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AI 안경, 차세대 컴퓨팅의 중심
저커버그의 비전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AI 안경에 대한 확신입니다. 그는 “안경은 AI를 위한 이상적인 폼팩터”라고 단언하며, “AI가 당신이 보는 것을 보고, 듣는 것을 들으며, 하루 종일 대화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메타의 Ray-Ban Meta 스마트 안경은 예상외의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안경 제조업체 에실로룩소티카에 따르면, Ray-Ban Meta의 매출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현재 이 안경들은 음악 청취, 사진/동영상 촬영, Meta AI와의 대화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커버그는 실적 발표에서 더 나아가 “미래에 AI 안경이나 AI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 다른 사람들에 비해 상당한 인지적 불이익을 겪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는 AI 안경이 단순한 가젯이 아니라 필수적인 컴퓨팅 도구가 될 것이라는 그의 확신을 보여줍니다.
메타는 현재의 Ray-Ban Meta와 Oakley Meta 안경에서 더 나아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차세대 Orion AR 안경 개발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저커버그는 “안경이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융합하는 이상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며 메타버스 비전과의 연계성도 강조했습니다.
오픈소스에서 선별적 공개로
메타의 AI 전략에서 주목할 변화는 오픈소스 정책입니다. 지금까지 메타는 Llama 모델 시리즈를 통해 오픈소스를 핵심 차별화 요소로 삼아왔습니다. 저커버그는 2024년 공개서한에서 “내년부터 미래 Llama 모델들이 업계에서 가장 앞선 모델이 될 것”이라고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발표에서는 다른 톤을 보였습니다. “초지능은 새로운 안전 우려를 제기할 것이며, 우리는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는 데 엄격해야 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할 것을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경쟁사 대비 뒤처진다는 내부 위기감입니다. 법원 문서에 따르면 메타 경영진들은 Llama 3 개발 과정에서 OpenAI의 GPT-4를 따라잡는 데 집착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둘째, 폐쇄형 모델이 수익화에 더 유리하다는 현실적 판단입니다. 비록 메타의 주 수익원은 광고이지만, AI 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전략적 유연성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실제로 최근 보고서들에 따르면, 메타는 최신 Llama 모델인 ‘Behemoth’의 테스트를 중단하고 폐쇄형 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개인용 초지능이 그리는 미래
메타의 개인용 초지능 비전은 우리 일상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저커버그는 사람들이 “생산성 소프트웨어에 더 적은 시간을 보내고, 창작과 연결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AI 안경을 통해 상시 연결된 개인 비서가 우리의 일상을 도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 AI는 우리가 보고 듣는 모든 것을 맥락으로 이해하며, 개인의 목표와 선호도를 깊이 파악해 맞춤형 도움을 제공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미래가 실현되기까지는 여러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보안, AI의 편향성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윤리적 이슈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또한 AI 안경이 스마트폰을 대체할 만큼 사용자들에게 받아들여질지도 미지수입니다.
저커버그는 “이번 10년의 나머지 기간이 이 기술이 나아갈 길을 결정하는 결정적 시기가 될 것 같고, 초지능이 개인적 역량 강화를 위한 도구가 될지 아니면 사회의 대부분을 대체하는 데 초점을 맞춘 힘이 될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메타의 개인용 초지능 선언은 단순한 기술 발표를 넘어, AI가 인간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미래가 아니라, 개인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파트너로서의 AI 미래를 제시한 것입니다. 이러한 비전이 현실이 된다면, 우리는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기술과 상호작용하며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참고자료:
- Personal Superintelligence
- Personal Superintelligence for Everyone
- Zuckerberg Says Meta Will Build Personal Superintelligence for Billions
- Mark Zuckerberg promises you can trust him with superintelligent AI
- Zuckerberg signals Meta won’t open source all of its ‘superintelligence’ AI models
- Zuckerberg says people without AI glasses will be at a disadvantage in the future
Comments